-
건강검진 요단백 양성, 궁금증 Q&A건강, 질환 2024. 8. 5. 16:50
요단백 양성소견이 나왔다면?
요단백 소변검사 1. 국가건강검진 소변검사 : 요단백 검사란?
국가건강검진에는 다양한 검사 항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소변검사입니다. 소변검사는 신장과 비뇨기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조기에 이상 징후를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가건강검진 소변검사에는 대표적으로 요단백 검사가 있습니다. 요단백 검사는 신장의 여과 기능 이상을 평가하기 위해 소변에 단백질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2. 요단백(Urine Protein)이란 무엇인가?
요단백은 소변에서 검출되는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경우, 신장의 여과 기능으로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게 합니다. 그러나 신장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단백질이 소변으로 나올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신장 질환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3. 단백뇨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 신장 질환 : 사구체 신염, 신증후군 등 신장의 여과 기능에 문제가 생길 경우
- 당뇨병 :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아 신장 손상이 발생된 경우
- 고혈압 : 고혈압으로 인한 신장 혈관 손상이 발생된 경우
- 감염 및 염증 : 신장 및 비뇨기계 감염이 요단백을 증가시킬 경우
당뇨 환자는 비뇨기계 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뇨에 의해 잔뇨가 많이 남을 수 있으며 급성방광염 등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방광염 치료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재발하는 만성방광염, 신우신염과 같은 요로감염 그 외에도 다양한 염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4. 요단백 궁금증 Q&A
Q. 소변에서 단백뇨가 검출된다는데 그러면 신장이 손상된건가요?
A. 단백뇨가 관찰되는 것이 꼭 신장의 손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소변이 너무 농축되었거나 배뇨 기능 장애, 격렬한 운동, 지속적인 발열(고열), 오래 서 있는 행위 등의 경우에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검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방광 내 점막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때에도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검출될 수 있습니다.
Q. 소변검사에서 요단백 양성이라는데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까요?
A. 소변에서 단백질이 검출되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신장 질환, 당뇨 등 이상 징후일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요단백 정량 소변 검사, 신장 기능 관련 혈액 검사, 비뇨기계 초음파 및 CT 등의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요단백 양성, 단백뇨 있을 때 근처 병원 무슨과 가야하나요?
A. 신장내과, 비뇨기과(비뇨의학과) 등의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5. 요단백 소변검사의 중요성
국가건강검진에서 시행하는 소변검사는 신장과 비뇨기계의 상태를 평가하고, 조기에 이상을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간혹, 건강검진 받는 사람들 중에 소변검사를 별거 아닌 검사로 생각하고 취소를 원하시는 분이 많이 계십니다. 조기에 질병을 발견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응형'건강,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결절에 대한 모든 것 : 갑상선결절, 암 인가요? (0) 2024.07.29 통풍 원인과 증상, 요산 수치, 피해야 하는 음식 (0) 2024.07.27 당뇨에 좋은 음식 5가지 추천 (0) 2024.07.26 영유아 수족구 :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0) 2024.07.22 [건강검진] 지방간에 대해 알아보자 (0) 2024.07.21